-
[ 목차 ]
이 사업은 공공배달앱을 통해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제과점업 등 외식업체에서 2만원 이상씩 3회 주문(포장·배달)하면 다음 번 주문 때 이용할 수 있는 1만원 쿠폰을 선착순으로 제공하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시행 시점 및 주체
- 시행 일시: 2025년 6월 10일(화)부터
- 주최: 농림축산식품부 및 지자체
2. 어떤 혜택인가요?
- 조건: 공공배달앱에서 ‘2만 원 이상’을 3회 포장 또는 배달 주문
- 보상: 다음 주문 시 사용할 수 있는 1만 원 소비쿠폰 지급
3. 참여 대상 플랫폼 (총 12개 앱)
- 지자체 운영(8개):
- 배달특급, 대구로, 배달모아, 전주맛배달
- 배달의명수, 배달e음, 울산페달, 배달양산
- 민관 협력형(4개):
- 땡겨요, 먹깨비, 위메프오, 휘파람
4. 이용 방법 & 조건 안내
- 별도 응모 불필요: 공공배달앱 이용만으로 자동 실적 집계
- 월 단위 1회 지급: 쿠폰은 앱별 ‘월 1회’ 횟수 제한 있음
- 2만 원 기준 설명:
- 음식값 + 배달료 합산 금액이 2만 원 이상이어야 해당
- 할인쿠폰 적용 후 결제된 최종 금액 기준
- 소급 적용 가능: 6월 1일 이후 주문부터 실적 집계
- 이월 여부는 앱별 상이:
- 쿠폰 지급 후 실적은 다음 달로 이월 가능
- 일부 앱은 이월 자체 불가할 수 있음
5. 사용 범위 및 유의사항
- 사용 가능 업종: 일반음식점·휴게음식점·제과점
- 사용 불가 업종: 유흥업소 등 제외
- 쿠폰 중복 사용:
- 공공배달앱 쿠폰끼리 중복 사용 불가
- 단, 타 할인쿠폰과는 중복 사용 가능
6. 사업 배경 – 왜 지금 시작했나?
- 소상공인 부담 완화:
- 민간 배달앱 수수료(약 30%+광고료)가 가혹한 상황
- 공공앱은 수수료 0~2%로 낮춰, 지원 목적
- 예산 규모: 국회 편성된 650억 원 예산 확보
- 외식 경기 회복 기대: 쿠폰 혜택이 소비자 유입을 도와 매출 증가 유도
7. 핵심 정리 – 4문장 요약
조 건 | 혜 택 |
---|---|
공공배달앱에서 2만 원 이상 3회 주문 | 다음 주문에 1만 원 쿠폰 지급 |
참여 앱별 월 1회씩, 총 12개 앱 대상 | 쿠폰은 자동 지급, 응모 불필요 |
음식값 + 배달료 기준 합산 2만 원 | 주문은 6월 1일 이후 실적 포함 |
650만 장 선착순, 예산 소진 시 종료 | 업종 제한, 쿠폰은 다른 할인과 중복 적용 가능 |
8. 활용 팁 – 바로 써먹는 팁 모음!
- 3회 주문 목표 미리 세우기:
- 월 초에 목표 주문량 체크하면 실수 없이 달성 가능
- 다양한 앱 활용하기:
- 앱별 월 1회 쿠폰이므로 3개 앱에서 각각 조건 달성하면 최대 3만 원 혜택 가능
- 주문 내역 기록해두기:
- 쿠폰 지급 여부가 자동이지만 앱 내 ‘이용내역’ 확인 필수
- 할인 쿠폰 동시 사용:
- 예: 민간 앱 쿠폰과 공공 앱 쿠폰 중복 적용 시 더 저렴하게
- 소문내기:
- 주변 지인에게 알려주면 서로 혜택 중복 가능!
9. 마무리 – 이 혜택, 놓칠 수 없어요!
2025년 6월 10일부터 시작된 이번 공공배달앱 소비쿠폰 사업은
소비자는 더 싼 가격에 배달 주문하고,
소상공인은 수수료 부담이 줄어드는 최적의 윈윈 정책입니다.
▶ 지금 바로 공공배달앱 깔고,
▶ 6월 1일부터 2만 원 이상 주문 3번 채워서
▶ 1만 원 소비쿠폰 챙기러 가요!
공공배달앱은 말 그대로 **지방자치단체(지자체)**가 주도하여 만든 비영리 배달 애플리케이션이야.
‘배달의민족’, ‘요기요’ 같은 민간 배달앱과는 다르게,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을 낮추고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운영돼.
📌 공공배달앱이란?
지자체 또는 공공기관이 개발·운영하거나 민간 플랫폼과 협업해 만든 배달앱으로,
소비자와 자영업자가 민간 배달앱 대비 더 저렴한 수수료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만든 공공 성격의 온라인 배달 플랫폼입니다.
🧾 공공배달앱의 주요 특징
항목 | 공공배달앱 | 민간 배달앱 |
---|---|---|
운영 주체 | 지자체, 공공기관 | 민간 기업 (ex. 배민) |
중개 수수료 | 0~2% (또는 무료) | 6~15%+광고료 |
광고비 | 없음 또는 매우 낮음 | 많게는 수백만 원 |
할인 혜택 | 지역화폐, 쿠폰, 이벤트 | 자체 쿠폰 중심 |
지역 밀착성 | 지역 소상공인 중심 | 전국 프랜차이즈 중심 |
수익 목적 | ❌ 없음 (비영리) | ✅ 있음 (영리 목적) |
🏛 공공배달앱의 예시
앱 이름 | 지역 | 운영 주체 |
---|---|---|
배달특급 | 경기 | 경기도주식회사 |
전주맛배달 | 전주 | 전주시청 |
배달의명수 | 군산 | 군산시청 |
배달모아 | 광주 | 광주시 |
땡겨요 | 서울 | SKT+서울시 |
울산페달 | 울산 | 울산시청 |
배달e음 | 인천 | 인천e음 + 지자체 |
먹깨비 | 전국(협약) | 중소기업 |
💡 공공배달앱의 장점
- 소상공인 수익 ↑
- 중개 수수료 거의 없어서 사장님들이 더 많이 가져감
- 소비자 혜택 ↑
- 지역화폐 할인, 정부 쿠폰, 지역 이벤트 연계 가능
- 지역 경제 순환
- 지역 내에서 돈이 돌기 때문에 지역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됨
- 배달앱 독점 구조 완화
- 민간 배달앱의 과도한 수수료와 광고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
🚨 단점
- 입점 업체 수가 적어서 선택의 폭이 좁을 수 있음
- 일부 앱은 사용성이 다소 불편하거나 결제 방식 제한 있음
- 배달 인프라(기사 수, 배달속도)는 민간 앱보다 부족한 경우도 있음
✅ 정리하면…
공공배달앱은
“지역 소상공인을 돕고, 소비자도 혜택을 받는 착한 배달앱”
이라고 할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