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6월 지하철요금인상, 교통비 절약 노하우 총정리[+변경 사항 추가]

by 정노쌤 2025. 6. 16.

    [ 목차 ]

2025년 6월28일 부터 수도권 지하철 요금이 1400원에서 1550원으로 인상됩니다. 매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의 경우 편도 150원은 적지 않은 금액임이 분명합니다.

지하철 요금 150원 인상에 대비해, K‑패스, 기후동행카드, 그리고 후불 기후동행카드를 활용한 교통비절약 전략을 정리했으니 지금 바로 확인해 보시죠!!

 

“지하철 요금 오르는데…’이 카드’ 하나면 교통비 절약 가능!”

2025년 6월 28일부터, 수도권 지하철 기본 요금이 **1,400원 → 1,550원(+150원)**으로 인상됩니다
이제는 매일 왕복 4회 지하철,55 이용 시 한 달 교통비가 월 +9,000원 추가되는 셈이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K‑패스, 기후동행카드, 후불 기후동행카드로 교통비 인상을 충분히 커버하고도 남을 만큼 아낄 수 있어요.

1. 왜 요금이 인상되었을까?

  • 2023년 10월 지하철 요금 인상 예정분 300원 중 절반을 2025년에 적용
  • 서울·인천·경기도·코레일 등 통합 협의로 6월 28일부터 상승 적용 결정
  • 요금 인상 상세 내역
구  분 현행 요금 인상 후 요금 인상 금액
성 인 1,400원 1,550원 +150원
청소년 800원 900원 +100원
어린이 500원 550원 +50원

 

2. ‘절약 가능한 카드 3종’ 한눈에 비교

카드 명칭 방식 혜택 구조
K‑패스 환급형 (후불 동일) 지출의 20~53% 환급 + 카드사 교통 추가 할인
기후동행카드 정액 무제한 (선불형) 월 정액으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후불 기후동행카드 정액 무제한 + 후불 방식 충전 필요 없고 연동 결제, 실사용만 부과 또는 정액 요금

3. 카드별 상세 정리

K‑패스 (국토부 주관 대중교통 환급형)

  • 환급 요금:
    • 2025년부터 다자녀 가구 유형 신설
K-패스 적립률 환급액  예) 1,500원 기준
일반 20% 300원
청년 30% 45원
저소득 53% 800원
2자녀 30% 450원
3자녀 이상 50% 750원
비고 이동거리 무관_15회 이상 이용시 최대 60회까지

 

  • 환급 가능량:
    • 월 15회 이상 기준, 최대 60회 환급
  • 카드사 할인:
    • 교통비 10~15% 추가 할인 (신한·KB·삼성·BC 등)
  • 절약 효과 예시:
    • 월 교통비 10만 원 지출 시, 일반 기준 환급 2만 원 + 카드사 할인 약 1만 2천 원 = 약 3만 2천 원 절약

요금 인상 이후에도
매월 15회 이상 이용 시 20% 환급으로 인상된 금액 커버 가능!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주관 정액형)

  • 정액 이용료:
    • 일반: 월 62,000원, 청년: 월 55,000원
  • 특징:
    • 지하철 + 버스 + 따릉이 포함 전국(?) 이용 가능
    • 한번 충전 → 1달 중 무제한 이용
    • 이용범위 : 서울특별시 내/소유 지하철·김포 골드라인·진접선·별내선·고양시 구간·과천시 구간·성남시 구간,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심야버스 포함), 따릉이(선택)
  • 절약 효과 예시:
    • 일 3회 이용 기준으로 하루 평균 1,550원 지하철 소비 시 한 달 약 15만 원 → 정액 6만 2천원에 이용 가능

결론: 교통비가 높은 이용자를 위한 압도적 절감 수단!

 

 

 

기후동행카드 소개

기후동행카드 사용방법 안내

news.seoul.go.kr

 

 

후불 기후동행카드 (기후카드 업그레이드)

  • 정액 + 후불 조합:
    • 충전 없이 사용, 정액 ~62,000원 기준으로 후불 청구
    • 실사용 금액이 정액보다 낮으면 실제 금액만 청구, 높으면 정액까지만 부담
  • 혜택 구성:
    • 신용/체크카드로 카드사 추가 할인 (교통비 10~15%) 
  • 편의성:
    • 카드 등록하면 충전 없이 자동 적용
    • 티머니 앱과 연동 이제는 자동!.

결론: 기후동행카드의 편의성을 더한 극강 효율 카드

 

후불 기후동행카드 등록

 

 

 

4. 교통비 절약 시뮬레이션

A. 월 60회 지하철 이용자

  • 월 교통비: 1550원 × 60회 = 93,000원
  • 절약 효과:
    • K‑패스 일반: 환급 18,600원 + 카드사 할인 9,300원 = 약 28,000원 절약
    • 기후동행카드: 정액 62,000원 = 31,000원 절약
    • 후불 기후동행: 카드사 할인 포함 → 최대 43,000원 절약 가능

5. 어떻게 선택할까?

이용 패턴 추천 카드 이유
전국 광역 통해 통근 K‑패스 사용 지역 자유 + 환급형 장점
서울+인근 지역 반복 이용 기후동행카드/후불형 하루 2회 이상 고정 이용자에 최적
청년/저소득층 K‑패스 + 기후동행카드 청년 요금 혜택 두 배 가능
카드 포인트·편의 기능 원함 후불 기후동행카드 카드사 혜택 + 정액형 편의

 

 

6. 요금 인상 후 절약 팁

  1. 6월 28일 이전에 카드 신청 & 등록
    → 요금 인상 후 바로 혜택 받기
  2. 티머니 앱 / 각 카드사 앱에서 사용 내역 확인
    → 실적 기반 환급 확인
  3. 교통 외 연계 할인도 활용
    → 커피·편의점·쇼핑 등 약 10~15% 할인 동시 적용
  4. 모바일 내역 vs 실제 환급 내역 비교
    → 누락 없이 잘 반영됐는지 정기 확인
  5. 기왕이면 청년/저소득층 적용 조건도 챙기기

 

교통비 절약 카드

 

7. 마무리 요약

  • 6월 28일부터 지하철 요금 150원 인상 → 월 60회 이용자로 예: +9,000원 부담
  • 하지만 ▶ K‑패스, ▶ 기후동행카드, ▶ 후불 기후동행카드만 잘 활용해도
    ➕ 카드사 할인 포함 최대 월 4만 원 이상 절약 가능!

교통비 인상은 피할 수 없지만, **“어떤 카드로 절약하느냐”**에 따라 부담은 기회로 바뀝니다.
지금 바로 내 일상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카드 하나 골라서
“교통비 걱정 없이!” 출퇴근·외출을 스마트하게 시작해보세요 😊